top of page

   <가족, 그냥 그런 존재>는 부모님의 연애 시절부터 현재 우리 가족의 모습을 담고 있다. 이 작업을 시작한 것은 17살이     되었을 때 이다. 타지로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면서 가족의 공백을 처음으로 느끼게 되었다. 이야기를 나누고 시간을       보내면서 가족의 의미를 되새겼다. 

 

 긴 작업 과정 속에서 내 감정은 변화 했다. 17살, 고등학생이었던 나는 가족이 가까이 있어야 서로의 존재를 느낄 수 있다고 생각했다. 24살, 나는 가족이 함께하지 않아도 서로에게 힘이 되는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. 많은 대화를  나누지 않아도, 몸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족은 내 삶에 존재한다.

 

 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부모님의 오래된 연애편지를 발견했다. 그 편지 속 에서는 내가 알지 못했던 아버지의 애정      어린 어투를 엿볼 수 있었다. 부모님의 20대가 궁금해 졌다. 그 흔적을 찾기 위해 집 안 곳곳을 살펴봤고, 과거 부모님의    사진과 의미 있는 물건들을 찾을 수 있었다. 오래된 사진 속에는 주름 하나 없는 어머니와 머리가 빽빽한 아버지의 젊은 시절을 볼 수 있었다. 

 

남남이었던 두 사람의 만남을 시작으로 지금의 우리 가족의 모습까지, 사진을 통해 가족을 기록하고, 시간이 흐름에  따라  변화하는 가족의 모습을 담았다.

<Just to be Family> captures the essence of my family from my parents' dating days to our current lives. I began this project when I turned 17. Moving away for high school made me acutely aware of the absence of my family. Through conversations and shared time, I reflected on the meaning of family.

Throughout this lengthy process, my emotions have evolved. At 17, I believed that family needed to be close to feel each other's presence. Now, at 24,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family can be a source of strength even when we are not together. Even without many conversations, and despite physical distance, family exists in my life.

During this process, I discovered old love letters from my parents. Through these letters, I glimpsed my father's affectionate tone that I had never known. I became curious about their lives in their twenties. To find those traces, I began exploring every corner of our home, uncovering old photographs and meaningful objects. The old photos revealed a time when my mother had no wrinkles and my father had a thick head of hair.

From the initial meeting of two strangers to the formation of our family as it is today, I aim to document our family through photographs, capturing the changes that time brings.

bottom of page